티스토리 뷰
🟡 노란봉투법, 그 시작은 어디였을까?
노란봉투법이 왜 만들어졌는지 제대로 알려면,
2009년 쌍용자동차 사태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.
그런데 먼저 이런 질문이 생긴다.
“쌍용차 사태는 왜 발생했을까?”
결국, 자본과 권력이 자신들의 이익만 챙기고 노동자를 버렸기 때문이다.
📉 쌍용차 사태, 그 비극의 시작
쌍용자동차는 IMF 외환위기 이후 어려움을 겪다가 간신히 회생 기미를 보이고 있었다.
그러던 중 2004년, 정부와 채권단의 주도로 중국 상하이자동차에 매각됐다.
당시 “민영화만이 해답”이라는 논리를 앞세운 정부(딴나라당, 현 국짐당)와 채권단, 재계가 함께 밀어붙인 결과였다.
하지만 상하이자동차는 쌍용차의 핵심 기술만 빼간 뒤 2009년, 회사를 버렸다..
쌍용차는 곧 법정관리에 들어갔다.
⚠️ 해고, 진압, 손배소… 잔인한 현실
회사는 회계 조작으로 막대한 적자를 만든 뒤, 정리해고 2646명을 발표했다.
희망퇴직 2020명, 정리해고 158명, 무급휴직 468명 등 수천 명의 노동자가 하루아침에 길거리로 내몰렸다.
이 과정에서 노동자들은 쌍용차 공장을 점거하며 저항했다.
하지만 당시 정부는 이를 무력으로 진압했다.
경찰특공대까지 투입된 진압 작전으로 수많은 부상자가 발생했다.
게다가 회사는 파업을 주도한 노동자들과 노조에 수십억 원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.
법원은 이를 받아들였고, 검찰은 상하이차와 정부 관련자들에게 “혐의 없음” 처분을 내렸다.
그 뒤로 노동자 33명과 가족이 목숨을 잃었다.
이쯤 되면, 억울함이라는 단어로는 부족하다.
정리해고는 고통이었고, 그에 대한 저항은 범죄로 취급되었으며,
법과 제도는 자본의 편에 서 있었다.
🟡 노란봉투의 시작
이때, 시민들은 노동자들의 법적 대응을 돕기 위해
자발적으로 성금을 모금했고, 그 돈을 담은 봉투가 바로 ‘노란봉투’였다.
그 봉투는 단순한 봉투가 아니라
“사람을 버리는 사회에 대한 저항”의 상징이 되었다.
그리고 수년 뒤,
이 정신은 노동자 보호를 위한 법안인
‘노란봉투법’으로 이어졌다.
❓만약 그때…
- 정부와 채권단이 회사를 헐값에 넘기지 않았더라면?
- 상하이차가 기술만 빼먹고 떠날 때, 제대로 책임을 물었더라면?
- 노동자의 권리를 존중하는 제도가 마련되어 있었다면?
우리는 이 비극을 피할 수 있었을까?
노란봉투법은 그냥 하나의 노동법이 아니다.
그 안엔 한 시대의 아픔과 교훈, 그리고 연대의 기억이 담겨 있다.
그 기억을 잊지 않기 위해, 그리고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,
우리는 이 법이 왜 필요했는지를 되새겨야 한다.
'블로그 > 투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주식] 경제적 자유를 위한 증권 입문기 (0) | 2025.05.22 |
---|---|
[배당] 삼성전자 배당 (1) | 2025.05.20 |
[경제상식] 노란봉투법 (1) | 2025.05.19 |
[종소세] 사업소득원천징수영수증 (0) | 2025.05.02 |
[주식] 삼성전자 배당 (0) | 2025.04.18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spring board
- 게시판
- 한빛미디어
- Spring 게시판
- 아침 글쓰기 챌린지
- 개발팁
- 스프링
- spring
- 도서
- java
- 글쓰기
- 오블완
- IntelliJ
- Did you know
- php mvc
- bootstrap
- Javascript
- 회고
- openjdk
- Raspberry pi3
- 라즈베리파이3
- 티스토리챌린지
- 아침글쓰기
- 안드로이드 스튜디오
- 아침 글쓰기
- Linux
- MAC OS STS Spring
- 리눅스
- android studio
- Tip of the day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