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💸 프리랜서라면 꼭 알아야 할 '사업소득 원천징수영수증'

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이다.
나처럼 프리랜서로 일하는 사람들에게는 매년 반복되는 중요한 시기이기도 하다.

보통 종합소득세 신고는 세무사무소를 통해 진행해 왔는데, 이번에 자료를 준비하다가 아무리 조회를 해도 확인 할 수 없었던 자료가 있었다. 바로 ‘사업소득 원천징수영수증’이라는 거였다. 처음엔 이름부터 어렵게 느껴졌지만, 알고 나니 간단했다. 이 글에서는 이 서류가 뭔지, 왜 필요한지 정리해 보려고 한다.


🔍 ‘사업소득 원천징수영수증’이란?

이름이 길어서 복잡해 보이지만, 단어를 잘게 나눠보면 이해가 쉽다.

  • 사업소득: 말 그대로 사업을 하면서 벌어들인 소득이다.
    프리랜서라면 따로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았더라도, 세법상 ‘사업자’로 간주된다.
  • 원천징수: 돈을 지급하는 쪽(의뢰한 회사나 기관)이 세금을 미리 떼서 나라에 대신 납부하는 제도다.
    프리랜서의 경우 보통 3.3%를 원천징수하고 급여를 지급한다.
  • 영수증: 그 세금이 실제로 원천징수되었음을 증명하는 문서다.

즉, ‘사업소득 원천징수영수증’은
프리랜서로 일하면서 받은 수입 중, 3.3% 세금을 뗀 내역을 정리한 공식 문서라고 보면 된다.


🧾 왜 필요한 걸까?

종합소득세를 신고할 때 이 자료가 있으면,
이미 납부한 세금을 국세청에서 확인할 수 있다.
즉, 내가 벌어들인 ‘소득’과 미리 낸 ‘세금’을 정확히 정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.

만약 세무사무소에서 이걸 요청했다면,
“3.3% 떼고 입금받은 거래 내역 중, 원천징수영수증 있는 것들 자료 주세요~” 라는 의미다.


📌 나처럼 프리랜서라면?

이번에 세무자료를 정리하면서 이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게 됐다.
매년 반복되는 일이지만, 이렇게 하나씩 알게 되는 것도 꽤 유익하다.

앞으로는 일한 뒤 3.3% 떼고 입금받는 경우,
꼭 ‘원천징수영수증’을 챙겨두는 습관을 들여야겠다.
언제 요청받을지 모르니까!

반응형

'블로그 > 투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주식] 삼성전자 배당  (0) 2025.04.18
[투자] ETF와 ISA  (2) 2025.04.02
이제 투자를 시작해 보자  (0) 2025.03.20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